Published on

함수

함수

함수는 코드의 재사용이라는 측면에서 유용하며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고, 실수(human error)를 줄여 코드의 신뢰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음

함수의 리터럴의 구분

함수 이름

  • 함수 이름은 식별자이므로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준수해야함
  • 함수 이름은 함수 몸체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음
  • 함수 이름은 함수 몸체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음
  • 함수 이름은 생략할 수 있으며, 이름 유무에 따라 기명함수, 익명함수로 나뉨

매개 변수 목록

  • 0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소괄호((..))로 감싸고 쉼표로 구분
  • 각 매개변수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한 인수가 순서대로 할당
  • 함수 몸체 내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취급(식별자 네이밍 규칙 준수)

함수 몸체

  • 함수가 호출될때 일괄적으로 실행될 문(실행 단위의 코드블록)
  • 함수 몸체는 함수 호출에 의해 실행

리터럴

  •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로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 방식
  • 값을 생성하기 위한 표기법

함수 객체와 일반 객체의 차이

  • 일반 객체는 호출할 수 없지만 함수는 호출 가능
  • 함수 객체에는 고유한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고, 함수가 객체라는 사실은 타 프로그래밍 언어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

함수 정의표

함수 정의 방식예시
함수 선언문function add(x, y){return x + y;}
함수 표현식var add = function(x, y){return x + y;}
Function 생성자 함수var add = new Function('x', 'y', 'return + y');
화살표 함수(ES6)var add = (x, y) ⇒ x + y;

함수 선언문

// 함수 선언문
function add(x, y) {
  return
  x + y;
}

// 함수 참조
console.dir(add); // f add(x,y)

// 함수 호출
console.log(add(2, 5)); // 7
  • 함수 선언문은 이름(add)을 생략할 수 없음
  • 표현식이 아닌 문에는 변수에 할당할 수 없음

기명 함수 리터럴

var add = function add(x, y) {
  return x + y;
};

// 함수 호출
console.log(add(2, 5)); // 7
  • 표현식이 아닌 문은 변수에 할당되지 않는데, 해당 예시는 변수에 할당되고 있음
    •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코드의 문맥에 따라 다르게 해석함
      • 기명 함수 리터럴도 중의적인 코드이므로 코드의 문맥에 따라 해석이 달라짐
function foo() {
  console.log('foo');
}

foo(); // foo

(function bar() {
  console.log('bar');
})
bar(); // ?
  • 단독으로 사용된 함수 리터럴(foo)는 함수 선언문으로 해석
  • 그룹 연산자(())를 사용하면 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해석하므로 ReferenceError: bar is not defined를 오류를 냄
  • 표현식이 아닌 문인 함수 선언문은 피연산자로 사용할 수 없음(검증)

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생성된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를 암묵적으로 생성

js_function1
  • 함수는 함수 이름으로 호출하는 것이 아닌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호출함

함수 표현식

  • 값처럼 변수에 할당할 수도 있고 프로퍼티 값이 될 수도 있으며 배열의 요소가 될 수 있음
  • 즉,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(⭐⭐⭐⭐⭐)
var add = function (x, y) {
  return x + y;
}

console.log(add(2, 5)); // 7
  •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add 함수를 함수 표현식으로 바꿔 정의할 수 있음
  • 함수 표현식의 이름을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임

함수 생성 시점과 함수 호이스팅

// 함수 참조
console.dir(add); // f add(x,y)
console.dir(sub); // undefined

// 함수 호출
console.log(add(2, 5)); // 7
console.log(sub(2, 5)); // TypeError: sub is not a function

// 함수 선언문
function add(x, y) {
  return x + y;
}

// 함수 표현식
var sub = function (x, y) {
  return x - y;
}
  •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함수와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한 함수의 생성 시점이 다름
    • 런타임 이전에 객체가 먼저 생성
      •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를 암묵적으로 생성하고 함수 객체 할당
  • 함수 호이스팅 vs 변수 호이스팅
    • 함수 호이스팅
      • 함수 선언문이 코드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
    • 변수 호이스팅
      • 함수 호이스팅과 동일하게 런타임 이전에 먼저 실행되어 undefined로 초기화
      • 변수 할당문의 값은 할당문이 실행되는 시점(런타임)에 평가됨

함수 표현식으로 함수를 정의하면 함수 호이스팅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,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

js_function2
  •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한 함수는 반드시 함수 표현식 이후에 참조 또는 호출 해야함(⭐⭐⭐⭐⭐)
  • 다만, 함수 호이스팅은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 반드시 함수를 선언해야 한다는 당연한 규칙을 무시
    • 그러므로!! 함수 선언문 대신 함수 표현식 사용을 권장

화살표 함수

  • ES6에 도입된 함수로서, function 키워드 대신 =>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을 단축할 수 있음
  • 항상 익명 함수로 정의
// 화살표 함수
const add = (x, y) => x + y;
console.log(add(2, 5)) // 7
  • 생성자 함수로 사용할 수 없으며, 기존 함수와 this 바인딩 방식이 다름
  • prototype 프로퍼티가 없으므로 argument 객체를 생성하지 않음

함수 호출

매개변수의 최대 개수

  • ECMAScript 사양에는 매개변수의 최대 개수에 대해 명시적으로 제한하고 있지 않음
  • 하지만, 매개변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인수의 순서를 고려해야하므로 코드 전체가 영향을 받고 유지보수성이 나빠짐
  • 이상적인 함수는 한 가지 일만 해야 하며 가급적 작게 만들어야 함

다양한 함수의 형태

즉시 실행 함수

  • 함수 정의와동시에 즉시 호출되는 함수(IIFE -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)
  • 단 한 번만 호출되고 다시 호출할 수 없음

익명 즉시 실행 함수

(function () {
  var a = 3;
  var b = 5;
  return a * b;
}());
  • 함수 이름이 없는 익명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임
  • () 그룹 연산자 내의 기명 함수는 함수 리터럴로 평가됨
  • 즉시 실행 함수는 반드시 그룹 연산자(...)로 감싸야 함
    • 함수 리터럴을 먼저 평가해서 함수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서임
// 일반 함수처럼 값을 반환할 수 있음
var res = (function () {
  var a = 3;
  var b = 5;
  return
  a + b;
}());

console.log(res); // 15

// 즉시 실행 함수에도 일반 함수처럼 인수를 전달할 수 있음
res = (function (a, b) {
  return a * b;
}(3, 5));
  • 왜 쓰이는가?
    • 혹시 있을 수 있는 변수나 함수 이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음

콜백 함수

  • 함수 매개변수를 통해 다른 함수의 내부로 전달되는 함수
// 외부에서 전달받은 f를 n만큼 반복 호출
function repeat(n, f) {
  for (var i = 0; i < n; i++) {
    f(i); // i를 전달하면서 f를 호출
  }
}

var logAll = function (i) {
  console.log(i);
};

// 반복 호출할 함수를 인수로 전달
repeat(5, logAll); // 0 1 2 3 4

var logOdds = function (i) {
  if (i % 2) console.log(i);
};

// 반복 호출할 함수를 인수로 전달
repeat(5, logOdds); // 1 3
  • repeat 함수는 내부 로직에 의존하지 않고 외부에서 로직의 일부분을 함수로 전달받아 수행
  • 매개 변수를 통해 함수의 외부에서 콜백 함수를 전달받은 함수고차 함수라고 함
    • 고차 함수는 콜백 함수의 호출 시점을 결정해서 호출함

콜백 함수는 고차 함수에 의해 호출되며, 고차 함수는 필요에 따라 콜백 함수에 인수를 전달할 수 있음

// 익명 함수 리터럴을 콜백 함수로 고차 함수에 전달
repeat(5, function (i) {
  if (i % 2) console.log(i);
}); // 1 3
  • 익명 함수 리터럴로 정의하면서 곧바로 고차 함수에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인 케이스

순수 함수와 비순수 함수

순수 함수

  •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변경하지 않는 함수
    • 함수 내부 상태에만 의존한다 해도 그 내부 상태가 호출될 때마다 변화하는 값이라면 순수 함수가 아님
    • 함수의 외부 상태도 변경하지 않음
  • 동일한 인수가 전달되면 언제나 동일한 값을 반환
var count = 0;

function increase(n) {
  return ++n;
}

count = increase(count);
console.log(count); // 1
  • 순수 함수 increase는 동일한 인수가 전달되면 언제나 동일한 값을 반환
  • 순수 함수가 반환한 결과값을 변수에 재할당해서 상태를 변경

비순수 함수

  • 외부 상태에 의존하거나 외부 상태를 변경하는 함수
    • 부수 효과(side effect)가 발생
var count = 0;

function increase() {
  return ++count;
}

increase();
// console.log(count); // 1
  • increase 함수는 외부 상태에 의존하며 외부 상태를 변경함

    함수가 외부 상태를 변경하면 상태 변화 추적에 어려우므로 순수 함수 사용을 권장

Referenced

  • 이응모, 『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』, 위키북스(2022.4.25), 154 ~ 188p